반응형 통계 및 현황95 결혼 이민자 현황 그래프로 보는 통계! 오늘은 우리나라의 결혼 이민자 현황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2012년부터 2021년까지의 결혼 이민자 현황 추이와 2021년 국적별 현황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결혼 이민자는 '체류외국인 중 국민의 배우자 체류자격을 가진 자'입니다. 보실 때 참고 부탁 드립니다. 연도별 결혼 이민자 현황(2012년~2021년, 단위: 명) 2012년부터 2021년까지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12년 148,498명을 시작으로 해마다 증가하면서 2020년 168,594명으로 최고점을 찍었습니다. 2021년 결혼이민자 국적별 분포(단위: 명) 전체의 91%를 차지하는 아시아주계가 153,644명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유럽주계, 북아메리카주계가 뒤를 이었습니다. 2021년.. 2023. 3. 27. 비만 유병률 그래프로 보는 통계! 오늘은 우리나라 국민의 비만 비율를 나타내는 비만 유병률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여기서 비만은 BMI(체질량지수, kg/㎡) 25 이상으로 정의하였으며, 만19세 이상을 대상으로 하였습니다. 연도별 비만 유병률 추이(2012년~2021년, 단위: %) 2020년이 38.3%로 가장 높았으며, 뚜렷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고령화와 더불어 비만화되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연도별 남녀 비만 유병률 추이(2012년~2021년, 단위: %) 남자는 모든 해가 35% 이상에 분포되어 있고, 여자는 30% 미만에 분포되어 있습니다. 여자보다 남자가 비만이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남자는 확연한 증가 추세를 보였고, 여자는 뚜렷한 추세를 보이고 있지 않습니.. 2023. 3. 27. 우리나라 강수량 그래프로 보는 통계! 오늘은 우리나라 강수량 통계를 살펴 보겠습니다. 2012년부터 2021년까지 각 연도별 강수량과 봄, 여름, 가을, 겨울 계절별 강수량은 어떻게 변화되었을까요? 강수량에는 눈, 우박도 포함되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연도별 강수량(2012년~2021년, 단위: mm) 2020년의 강수량이 가장 많았으며, 2015년이 가장 적었습니다. 연도/계절별 강수량(2012년~2021년, 단위: mm) 어느 해나 여름의 강수량이 가장 많았으며, 봄과 가을은 교차되는 해도 있었습니다. 평균적으로 보았을 때는 가을이 강수량이 더 많았습니다. 2020년은 여름에만 1,000mm가 넘는 강수량을 기록하였습니다. 상기 2020년의 높은 강수량은 여름에 몰아친 집중호우가 기인한 것으로 보입니다. 겨울.. 2023. 3. 26. 암 발생자 현황 그래프로 보는 통계! 오늘은 암 발생 현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인류가 발전함에 따라 추위와 같은 자연환경 등 인류를 위협하는 여러가지 장애물을 극복해왔습니다. 이제는 지구를 넘어 우주까지 영역을 확장하고 있을 정도로 눈부신 번영을 이룩하고 있습니다. 특정 분야에서는 정복이라는 말까지 쓰일 정도입니다. 하지만 아직도 정복을 하지 못한 분야가 있습니다. 인간의 건강을 직접적으로 위협하는 질병 '암'입니다. 불과 몇십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암 판정은 사형선고나 다름 없었습니다. 지금은 의학이 발달하여 암 판정을 받더라도 완치하는 경우도 생기고, 생존기간도 늘어났습니다. 아래 그래프를 보면서 1999년부터 현재에 이르는 2020년까지 우리나라의 암 발생 현황은 어떻게 되고 있었는지 한번 보겠습니다. 암 발생.. 2023. 3. 25. 이전 1 ··· 19 20 21 22 23 2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