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7 산불 현황 그래프로 보는 통계! 오늘은 산불 현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얼마 전 4월 11일에도 강릉에 큰 산불이 나 많은 피해가 발생하였습니다. TV나 인터넷을 통해 간접 경험한 현장만 보더라도 산불이 얼마나 무서운 재난인지 알 수 있었습니다. 산불은 특히, 봄철에 집중되고 사람으로 인해 많이 발생되다 보니 이번에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지고 산불 예방에 일조하였으면 좋겠습니다. 이번 글은 산림청이 2023년 4월 17일 공개한 '2022년 산불통계 연보'를 참고하였습니다. 먼저, 2022년 한 해 동안 발생한 산불 건수는 756건이고, 산불발생 면적은 24,797ha입니다. 2020년과 2021년을 비교해보았을 때 산불 건수는 많고, 산불발생 면적은 넓습니다. 최근 10년('13년~'22년) 간 평균과 비교해.. 2023. 4. 18. 사망원인별 통계 그래프로 보는 통계! 이번에는 사망원인별 통계를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1983년부터 근래에 해당하는 2021년까지 사망원인별 사망자수와 사망률(십만명당)을 살펴보겠습니다. 사망자수 및 사망률(십만명당) 추이(1983년~2021년) 사망원인별 통계를 보기 전 사망자수 및 사망률(십만명당)을 살펴보겠습니다. 사망자수는 몇 해를 제외하고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사망자수가 증가하였음에도 사망률이 완전한 증가세를 보이지 않는 것은 인구의 증가분이 반영되었기 때문입니다. 사망원인 상위 9개 대분류별 사망률 추이(1983년~2021년, 단위: 명/십만명당) 눈에 띄게 증가하는 두가지 항목이 있습니다. 신생물과 호흡계통의 질환입니다. 특히, 신생물(암+양성종양)은 1983년 대비 2021년에는 두배 넘게 증가하였습.. 2023. 3. 30. 농가 및 농가 인구 그래프로 보는 통계! 오늘은 농가 및 농가 인구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갈수록 농가 인구가 줄어든다는 말을 한번쯤 들어보셨을겁니다. 농업은 안보와도 직결되고, 국력의 근간이 되는 산업입니다. 만약 농업을 할 수 있는 인구가 없어, 식량을 수입에 의존하게 된다면 다른 나라에 의해 먹을 거리로 위협 받는 신세가 될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농가 및 농가 인구가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농가수, 총가구 중 비중 및 농가당 가구원수 추이(2012년~2021년) 농가수, 총가구 중 비중, 농가당 가구원수 모두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농가수의 경우 2012년 115만 1천호에서 2021년 103만 1천호로, 10만호가 넘게 감소하였습니다. 총가구 중 비중은 2012년 6.4%에.. 2023. 3. 29. 결혼 이민자 현황 그래프로 보는 통계! 오늘은 우리나라의 결혼 이민자 현황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2012년부터 2021년까지의 결혼 이민자 현황 추이와 2021년 국적별 현황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결혼 이민자는 '체류외국인 중 국민의 배우자 체류자격을 가진 자'입니다. 보실 때 참고 부탁 드립니다. 연도별 결혼 이민자 현황(2012년~2021년, 단위: 명) 2012년부터 2021년까지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12년 148,498명을 시작으로 해마다 증가하면서 2020년 168,594명으로 최고점을 찍었습니다. 2021년 결혼이민자 국적별 분포(단위: 명) 전체의 91%를 차지하는 아시아주계가 153,644명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유럽주계, 북아메리카주계가 뒤를 이었습니다. 2021년.. 2023. 3. 27. 이전 1 ··· 37 38 39 40 41 42 43 ··· 5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