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 평균가격(이하 '집값'으로 혼용)을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2006년부터 지역별로 어떻게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가 변화되어 왔는지 그래프를 통해 시각화해보겠습니다. 꺾은선 그래프로 추이를 중점적으로 볼거라 동향을 파악하는데는 도움이 되리라 생각하니 참고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전국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 평균가격(2006년 1월 ~ 2023년 4월, 단위: 만원/㎡)]
먼저, 전국 평균입니다. 2006년 1월 ㎡당 294.6만원으로 시작하여 2008년 10월 ㎡당 187.4만원으로 가장 낮았고, 2023년 4월 ㎡당 538.1만원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제곱미터는 크게 와닿지 않을 수 있어, 국민평형이라 불리는 34평(전용면적 84㎡)으로 환산해보겠습니다.
[전국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 평균가격(2006년 1월 ~ 2023년 4월, 단위: 억원)]
전국 평균을 알아보았으니 이번에는 서울 집값을 한번 보겠습니다. 서울은 전체 평균과 5개 권역으로 나누어 비교해보겠습니다. 5개 권역은 도심권, 동북권, 동남권, 서북권, 서남권입니다. 각 권역별 해당 구는 아래 표와 같습니다. 위와 마찬가지로 국민평형 84㎡로 환산하겠습니다.
서울 5개 권역 분류(2020 서울 도시기본계획) | |
도심권 | 종로구, 중구, 용산구 |
동북권 |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성북구 중랑구, 동대문구, 성동구, 광진구 |
동남권 |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강동구 |
서북권 | 은평구, 서대문구, 마포구 |
서남권 | 강서구, 양천구, 영등포구, 구로구, 금천구, 동작구, 관악구 |
[서울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 평균가격(2006년 1월 ~ 2023년 4월, 단위: 억원)]
평균을 기준으로 동남권과 도심권은 평균보다 위에서 가격을 형성했고, 동북권/서북권/서남권은 평균 아래에서 가격을 형성했습니다. 매번 그렇지는 않았지만 대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양상을 보였습니다.
서울의 5개 권역 모두 비슷한 추이를 보였습니다. 2006년부터 현재까지 우상향의 모습을 보였고, 2022년 1분기 쯤에 최고점을 찍었습니다. 일명 강남지역이라 불리는 동남권은 이 시기에 19.2억원의 가격을 형성했습니다. 현재는 정부의 부동산 정책으로 인해 평균은 11.5억원, 도심권은 13억원, 동북권은 9.1억원, 동남권은 16.5억원, 서북권은 10.5억원, 서남권은 9.8억원입니다. 2006년 1월과 비교했을 때 2023년 4월 동남권은 2.6배, 동북권은 3.6배 집값이 올랐습니다.
다음은 광역시와 특별자치시의 집값을 알아보겠습니다. 부산, 대구 등을 비롯한 6개 광역시와 특별자치시인 세종시입니다.
[광역시/특별자치시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 평균가격(2006년 1월 ~ 2023년 4월, 단위: 억원)]
6개 광역시 모두 2006년 1월 0.8억원과 1.8억원 사이, 즉 2억원이 안되는 곳에서 시작했습니다. 2023년 4월 지역별 격차가 벌어졌지만 3억원~4.5억원 사이에서 집값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서울과 마찬가지로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는 우상향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눈에 띄는 것은 2012년 5월부터 통계에 잡히기 시작한 세종시가 급격한 상승세를 거듭해 광역시/특별자치시 중 가장 높은 집값을 형성했습니다. 현재 5.5억원입니다.
경기도를 비롯한 도별 집값 추이입니다. 제주도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도별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 평균가격(2006년 1월 ~ 2023년 4월, 단위: 억원)]
경기도를 비롯한 8개도와 제주도도 우상향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수도권인 경기도는 다른 지역과 비교하여 월등히 높은 집값을 형성했습니다. 수도권에도 서울과 인접한 지역 또는 신도시는 상기 그래프의 집값보다 훨씬 높은 집값을 형성하지만 수도권 내 군지역도 모두 포함되어 있으므로 평균의 함정에 빠지지는 마시기 바랍니다^^;
이 그래프에서도 눈에 띄는 지역이 보입니다. 바로 제주도입니다. 2015년부터 급격하게 증가하여 현재 도 중에서 경기도 다음으로 높은 집값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나머지 도는 현재 1.5억원에서 2.7억원 사이에 집값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이상으로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 평균 가격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기초 데이터는 통계청의 자료를 활용했습니다. 통계청에서 기초 데이터를 만들기까지 여러가지 변수들이 고려되었을겁니다. 다양한 평형, 건축년도 등이 그 예시입니다. 각기 다른 상황에서 형성된 가격을 평균 낸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죠. 이번 포스팅도 큰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참고정도만 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다음 언젠가는 우리의 소득수준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포스팅해보겠습니다. 우리의 소득수준이 집값을 따라 갈 수 있을까요...
'통계 및 현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시 인구현황 (0) | 2023.07.10 |
---|---|
부산시 인구현황(구별/동별 등) (0) | 2023.07.08 |
음주운전 교통사고 현황 (0) | 2023.07.07 |
어업인구 종사 현황 (0) | 2023.07.05 |
인천시 인구현황(구별/동별, 평균연령 등) (0) | 2023.07.04 |
댓글